제품소개 제품안내 | 자료실 | 기계설비

제품안내

현대 건축물의 특징은 간편한 경제성을 바탕으로 한 인간 주거환경의 쾌적화로 발전을 추구하고있다.
열원장비의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연도, 연돌공법도 보다 과학화된 형태로 발전을 거듭한 결과 DP SYSYEM
(DRAFT HOOD SYSTEM)은 공기단열층을 사이에 둔 이중 구조관으로서 열원기기(보일러, 냉온수기, 발전기,
소각로 등)의 배기가스배출을 위한 건식, 조립식의 공법으로 수평연도 및 수직연돌로써 구성된다.
▶경제성
Model DP System 연도, 연돌은 최소의 면적으로 건축공간 이용률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조립식으로 인한 공기단축은 설치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수명이 길어추후 개보수등의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
▶시공성
DP공법은경량으로서 최소의 인원과 간단한 손도구만으로도 설치가 용이하며 재래식(내화벽돌)공법에 비하여 1/5정도의
설치기간만을 요한다.
▶정밀성
스테인레스 재질의 저항계수(K)값이 재래식(내화벽돌, 강관)에 비하여 매우 적고 형상이 정원형으로서 연소가스 배출 시
화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도, 연돌 단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정성
내부관의 스테인레스관을 Argon Welding 접합하여 Crack 현상과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기밀도가 높아 누설이 없으며,
표면이 매끄러워 마찰저항이 매우 적다. 또한 열팽창과 진동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을 설치하여 안정성이 높다.
▶용도
각종 보일러 및 냉온수기 등의 배출가스 계통
공도 DUCT 계통
선박엔진 배기가스 계통
소각로 배기가스 계통
발전기 배기가스 계통
기타 각종 배기가스 배출 계통
▶MODEL DP SYSTEM의 재질
구 경 Ø900 이하 Ø1000~1500 Ø1600 이상 비고
내부 0.8 1.2 1.5 SUS304
외부 0.8 0.8 1.2 ALUMINIZED STEEL
0.6 0.8 1.2 SUS304인 경우
▶INSULATED PIPE(DP PIPE)
이중관 구조의 25mm 단열층을 지닌 PIPE로서 VEE BAND와 OUTER CHANNEL의 부솓품을 지닌다.
▶MANIFOLD TEE(A-MT)
보일러 및 엔진 STACK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VERTICAL STACK(수직연돌)과 HORIZONTAL STACK(수평연돌)을 연결시켜
준다.
▶PLATE SUPPRRT ASSEMBLY(A-PA)
재질은 STEEL이며 연결된 연도, 연돌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며 STACK을 SLAB 혹은 벽체에 고정시키는 역활을 한다.
주로 ADJUSTABLE LENGTH(A-AG) 위에 설치되며 BRACKET(WALL BRACKET, PLATE BRACKET)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FULL ANGLE RING(A-FR)
재질은 STEEL이며 ANGLE RING과 SUPPORT STRUCTURE로 구성된다. 연결된 연돌,연돌의 좌우 유동을 막아주는
역활을 하며 설치고정 방법은 PLATE SUPPORT ASSEMBLY와 동일하다.
▶ADJUSTABLE LENGTH(A-AG)
배기가스 온도에 의한 선팽창을 SLIP시킴으로서 EXPANSION을 해결하는 CONNECTOR로 사용한다.
▶CHECK HOLE(A-CH)
연돌의 배출가스(SO₂, 분진등) 측정을 위한 채취 HOLE로서 개폐할 수 있는 구주로 만들어져 있다. 연돌 최하부에서의
위치는 PIPE 직격의 8배의 위치에 설치하고 최상단에서의 위치는 PIPE 직경의 2배 되는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STACK CAP(A-SK)
빗물의 유입을 부분적으로 막는 역활을 하며 연돌 최상부에 설치된다.
▶DRAIN TEE CAP(A-TC)
연돌 최하단부에 설치되며 BOILER 가동시 생성된 연돌 내부의 황산성물이나 내부의 분진등이 유입된 빗물과 함께 항상
배출될 수 있게끔 한다.
▶CLAMP FLANGE(A-CF)
각종 열연기기의 OUTLET과 연도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두 부분으로 분활되며 BOLT, NUT 및 WASHER로 조이고
GASKET을 사용하여 내부 GAS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ELBOW(A-EL)
DP PIPE LINE의 방향 전환시 사용한다.
▶LATERAL TEE(A-LT)
DP PIPE의 2가지관이 합쳐질 때 사용한다.
▶BELLOWS JOINT(A-BJ)
GAS TURBINE, DISEL ENGINE의 연도에 사용되며 엔진가동시 발생하는 심한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며, 그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활을 한다.
▶INSULATED(A-IV)
연결된 연도, 연돌의 하중을 지탱하는 주는 PA에설치한다.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 25mm의 공기단열층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도로 ANGLE RING을 외부관에 특수용접하여 제작한 단열관이다.
노통보일러(TON) 관류보일러(TON) 냉온수기(USR/T) 온수보일러(KCAL/HR) 발전기(KW)속도
1 Ø300 0.1 Ø200 100 Ø250 10,000~40,000 Ø200 75 Ø200 14.8M/SEC
1.5 Ø350 0.2 Ø200 115~200 Ø350 50,000~100,000 Ø200 100 Ø200 19.7M/SEC
2 Ø450 0.3 Ø200 210~320 Ø400 150,000~300,000 Ø250 150 Ø250 29.6M/SEC
2.5 Ø500 0.4 Ø250 330~450 Ø450 400,000~500,000 Ø300 200 Ø250 22.2M/SEC
3 Ø500 0.5 Ø250 460~600 Ø500 600,000~700,000 Ø350 250 Ø250 27.7M/SEC
3.5 Ø600 0.6 Ø300 610~800 Ø600 800,000~900,000 Ø400 260 Ø250 28.8M/SEC
4 Ø600 0.8 Ø300 810~1000 Ø700 1,000,000~1,200,000 Ø450 270 Ø300 19.8M/SEC
4.5 Ø700 1 Ø350 1100~1250 Ø800 1,500,000~1,700,000 Ø500 300 Ø300 21.3M/SEC
5 Ø700 1.5 Ø400 1300~1500 Ø900 1,800,000~1,900,000 Ø600 350 Ø350 24.9M/SEC
6 Ø800 2 Ø400 2,000,000~2,400,000 Ø700 400 Ø350 28.5M/SEC
7 Ø800 2.5 Ø450 2,500,000~3,000,000 Ø800 450 Ø350 22.2M/SEC
8 Ø900 3 Ø500 500 Ø400 24.6M/SEC
10 Ø1000 550 Ø400 27.8M/SEC
12 Ø1100 600 Ø400 29.6M/SEC
15 Ø1200 650 Ø450 23.6M/SEC
700 Ø450 25.4M/SEC
750 Ø450 27.2M/SEC
800 Ø450 22.2M/SEC
850 Ø500 23.6M/SEC
900 Ø500 24.9M/SEC
950 Ø500 27.7M/SEC
1,000 Ø500 21.9M/SEC
1,250 Ø600 22.2M/SEC
1,500 Ø600 18.5M/SEC
2,000 Ø700 24.6M/SEC
*주) 보일러 종류 및 건물의 높이와 기계실 LINE의 길이에 따라 DIA SIZE는 다소 변할 수 있음.
▶DP SYSYEM의 사용범위와 설치 보온성
CRITERIA RESTAURANT GREASE DUCT BUILDING HEATING APPLIANCE CHIMNEY 1400˚F FACTORY-BUILT CHIMNEY
Application Cooking appliance
Ventilation hood
Restaurant grease duct
With ventilation fan
Low and high pressure
Steam boiler
Disel & Trubine
Exhausts
Building heating
Equipment
Industrial furnaces
Processing equipment
Kilns
Hoods
Ovens
Disel &Turbine Exhausts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s
500˚F Continuous
2000˚F Intermittent
1000˚F Continuous
1400˚F Intermittent
1400˚F Continuous
1800˚F Intermittent
Clearances
To Conbustibles
150, 200, 250m/m I.D.-125m/m
300m/m I.D.-150m/m
350m/m I.D.-175m/m
400m/m I.D.-200m/m
450m/m I.D.-225m/m
500m/m I.D.-250m/m
Over 300m/m I.D.-450m/m
150~900m/m I.D.-150m/m Exterior
-250m/m Interior
1000~1200m/m I.D.-150m/m Exterior
-450m/m Interior
Exterior & Continuous
150m/m Thru 600m/m I.D.-375m/m
Over 600m/m I.D.-600m/m
To Non-Conbustibles Exterior:
150~200, 250m/m I.D.-125m/m
300~1200m/m I.D.-150m/m
Interior Chase: As necessary for
Installation or access.
150m/m Thru 450m/m I.D.-50m/m
Over 450m/m I.D.-100m/m
Interior Chase: As necessary for
Installation or access.
150m/m Thru 450m/m I.D.-50m/m
Over 450m/m I.D.-100m/m
Interior Chase: As necessary for
Installation or access.
NOTE: Model DP outer diameter is internal diameter(I.D) plus 50m/m for all sizes.
▶DP SYSYEM 설치도 및 설치사례
DP 공법 내화벽돌 공법
공사비 건물의 형태에 따라 0~10%가 내화벽돌
공법에비하여 초기 투자면에서 비싸다. 그러나,
장기적인 특히, 간접적인(건축공간등)면까지
대비하면 훨씬 경제적인 공법이라 할 수 있다.
DP공법에 비하여 저렴하나부수적인 상황을
대비할 때는 결코 경제적인 공법이라 할 수 없다.
유지관리 수명이 길어설치 후 보수 문제점이 없다. 20년 전후로 내구성이 악화된 내화벽돌의 보수
및 분진처리 작업이 필요하다.
보온성 내, 외측 연돌사이의 25m/m의 밀폐공기
단멸층으로 인한 연돌 외부 온도가 30~40도
미만으로 주위벽의 열전도 영향이 없다.
내화벽돌공법에 비하여 20% 정도의 열손실이
적다.
DP공법에 비하여 20% 정도의 열손실이 많다.
통풍성 열손실이 적은 관계로 평균 배기가스 온도가
높다. 이것은 가스 배출에 대한 통풍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평균 배기가스 온도가 낮아 통풍력이 DP공법에
비하여 떨어진다.
시공성 경량제품이며 공장제작으로 현장 조립이
가능하므로 재래식에 비해 1/5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시공상으로 매우 간편하다.
몰탈의 양생 및 조적작업의 능률로 보아
시공기간이 길게 소요되며 시공상으로 불편하다.
작업시 안전사고에 매우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내구성 열팽창용 벨로우즈 사용으로 인한 팽창, 수축에
대처할 수 있으며 화학적인 변화가 거의
없다. 발생되는 걸로는 하부 배수처리장으로
배출되므로 이로 인한 영향은 전혀 없다.
보일러가동 및 비가동시의 온도차로 인한 균열
및 파열 현상이 우려된다. 발생되는 결로로
인하여 장기간 내화벽돌의 균열등으로 인한
배기가스 유출 등 건축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건축성
SPACE
재질의 마찰계수가 적으므로 연돌 단면적을
줄일 수 있어 건축 SPACE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내화벽돌은 두께 및 내면 마찰계수가 크므로
연돌의 단면적이 커야한다.
정밀성 및
표면마찰
저항
내면 마찰저항이 적은 정원형으로 배기가스
속도가 빨라 연돌내경이 축소된다.
내면 마찰저항이 크고 사각형 연돌이어야
하므로 가스 배출시 와류 현상이 일어난다.
외관 별도의 보온재가 필요없는 공법으로서 외관이
매우 깨끗하며미려하다.
건축적으로 마감한 부위는 별 무리가 없으나
실내의 강판 연도 등은 DP공법에 비하여
미려하지 못하다.
수명 50년 전후 20년 전후
분리
처리장치
내부의 분진과 수분은 항상 하부의 배수처리
장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다.
연돌 하부에 분진처리실을 두어 일정 기간마다
소재하여야 한다.
개별난방 아파트의 공동 배기방식은건축법 시행규칙 제13호에 의거 근래에 수요가 필수적임에 따라
설치에 필요한 규격 산출식과 설치기준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공동 배기구의 유효 단면적 계산식

A=(Q * 0.6 * K * F) + P


위의 식에서
A: 공동 배기구의 유효단면적(mm)
Q: 보일러의 가스 소비량 합계(Kcal)
K: 형상계수(표1)
F: 보일러의 동시 사용률(표2)
P: 배기통의 수평투영면적(mm)

[표1]형상계수

내부면이 원형일 때 1.0
내부면이 정사각형일 때 1.3
내부면이 직사각일 때 1.4

[표2]보일러의 동시 사융률 표

보일러 수량 동시 사용률 보일러 수량 동시 사용률
1 1.00 12 0.80
2 1.00 13 0.80
3 1.00 14 0.79
4 0.95 15 0.79
5 0.92 16 0.78
6 0.89 17 0.78
7 0.86 18 0.77
8 0.84 19 0.76
9 0.81 20 0.76
10 0.81 21 이상 0.75
11 0.80
▶공동 배기구 설치기준
공동배기구의 정상부에는 최상층 보일러의 역풍방지장치
개구부하단 까지의 거리가 4m이상일 경우에는
공동배기구에 연결시키며 그 이하일 경우에는 단독으로
설치할것

공동배기구는 굴곡없이 수직으로 설치하고, 단면 형태는
될 수 있는한 원형 또는 정사각형에 가깝도록 해야하며
가로 세로가 1:1.4 이하일 것.

동일층에서 공동 배기구로 연결되는 보일러의 수는 2대
이하로할 것.

공동 배기구의 재료는 내열 내식성이 좋은 것으로 할 것.

공동 배기구의 단면적이 부족할 경우에는 건물 외부에
별도의 배기구를 설치하고, 그 재료가 금속재일 때는
보온조치를 할 것.

공동 배기구 최하부에 청소구와 수치기를 설치할 것.

공동 배기구 및 배기통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하지 말 것.

공동 배기구와 배기통과의 접속부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것.

공동 배기구는 배기가스가 사람이 거주하는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내와 접하고 있는 면을 이중벽으로
하거나 실내측 벽에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감처리를 한
구조일 것.

공동 배기구톱은 풍압대 밖에 있을 것.

공동 배기구톱은 통기 저항이 적고, 유풍시 흡인성이 좋은
것을 사용할 것.

배기통의 유효 단면적은 보일러 배기통 접속부의 유효
단면적 이상일 것.

옥상 또는 지붕면에서 공동 배기구톱 개구부 하단까지
수직 높이는 15m 이상일 것.

급기 또는 배기형식이 다른 보일러는 공동 배기구에
함께접속하지 아니할 것.

공동 배기구에 접속하는 보일러의 배기통 높이 및
수평길이는 다음과 같다.
  보일러 배기통 접속부에서 공동 배기구에 접속되는
  배기통 하단부까지의 높이가 30cm 이상 60cm 미만일
  경우는 배기통 수평길이를 1m 이하로 할 것.
  보일러 배기통 접속구에서 공동 배기구에 접속되는
  배기통 하다분까지의 높이가 60cm 이상인 경우는
  배기통 수평길이를 5m 이하로 할 것.